애플리케이션 성능 분석 관리 솔루션(ASM)


IT의 주요 평가 기준은 비니지스의 핵심 요구를 충족하면서 동시에 신뢰할 수 있는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을 성공적으로 공급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 애플리케이션이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환경에서 투자된 IT자원들의 성능과 가용성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지표들

을 보여주는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ASM솔루션은 정확한 진단 정보와 리포트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성능 문제를 손쉽게 모니

터링하고 분석, 해결, 방지하도록 도와줍니다. 사용자, 네트웍, 서버, 데이터베이스의 성능

을 최적화하여 IT조직이 비즈니스에 극대화된 가치를 제공하도록 ASM솔루션은 지원하고

있습니다.

개요

기본개념
최근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APM의 기본 개념은 기업의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주요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관리하는 것 이다.
기존의 관리는 비즈니스 모니터링과 인프라 모니터링이 별개의 항목으로
분류 관리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은 어플리케이션 중심의 관리와 인프라 중심의 관리가 필요한 시기이다.
무엇을 중심으로 관리하여야 할까 ? 하는 문제에 있어서 , 경영자의 관심은 인터넷 주문이
잘 되는지 … , 결재는 잘 되는지 … 지와 같은 어플리 케이션의 성능이다. 서버의 성능을
유지하는 것, 네트워크의 성능을 유지하는 것, 이 모든 것은 궁극적으로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잘 유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APM의 등장배경
APM의 등장 배경은 무엇일까요?
기존의 IT솔루션 공급자의 시장 개척을 위한 패러다임도 한 몫을 하였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는 대외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주요 비즈니스 시스템(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증가
이다.
과거의 어플리케이션이 대부분 내부 사용자용인데 비하여, 최근은 대외 고객의 직접 이용이
증가되었으며, 외부의 이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은 비즈니스 자체에 엄청난 영향을
주게 되었다.
각 회사들은 비즈니스의 차별화를 위해 노력해보지만 경쟁사도 모두 비슷한 서비스를 즉시
제공하게 되므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등으로 경쟁사와 경쟁우위를 유지하기는 점점 힘들게
되면서 어플리케이션 성능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욱 커지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24 시간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경우가 늘어나 더욱더 성능과 안정성,
가용성이 차별화 요소가 되고 있는 추세이다 .

APM 솔루션 공급자
솔루션 공급자는 SMS/NMS공급자 그룹인 IBM, BMC, CA 와 테스팅 솔루션공급자 그룹인
Mercury, Empirix, Compuware로 나눌 수 있습 니다 .
즉, 시스템 모니터링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이 하나로 만난 것 이다. 따라서
각 벤더의 제품과 솔루션은 그 출신별로 성향이 조금 다 름을 쉽게 알 수 있다.
통상 APM의 범위는 아래 그림과 같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좀 더 넓은 모니터링의 범위를 주는 반면 , 모니터링의 깊이는 상대적으로
얕아지고 있다.


APM의 구성

1. 주요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수행하고 속도와 가용성 등을 측정하는

트랜젝션 에이전트 부분
2.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에이전트
3. 데이터를 수집하는 콜렉터와 데이터베이스
4. 모니터링 콘솔과 연관 분석엔진

여기에서 트랜젝션 에이전트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형태를 기록하고 자동 수행하는

기존의 테스팅 영역이며, 서버와 네트워크의 주요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기존의 SMS, NMS 영역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비즈니스와 어플리케이션의 변화에

따라 이제는 구분이 없어진 것이다.


APM의 주요 기능

주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속도 및 가용성 모니터링
트랜젝션 에이전트를 기업의 내부 또는 내부와 외부에 설치하고 주요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작동을 감시하면서 수준의 측정 및 이상 경보.

서비스 관련 모든 구성요소(서버, 네트워크 등)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에 이상이 발생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구성요소(서버, DB,
네트워크 등)의 감시항목을 동시에 검토하여 원인 파악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반구조 문제 진단과 분석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 상황을 사전 인식하여 문제 발생 예방